고용과 채용의 원리는 캐나다와 한국 둘 다 같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떤 분야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도와줄 사람이 필요해 공고를 내고, 그 분야에 적합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지원하면, 서로 간의 합의 후에 계약을 맺는 원리. 하지만 문화가 다른 두 나라에는 몇 가지 다른 점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직업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정규직으로 구분하여 혜택을 다르게 주는 반면 캐나다에서는 직업을 파트타임잡과 풀타임잡으로 구분하고, 여기에서 Permanent Job(영구직)과 Temporary Job(임시직)으로 다시 구분한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대부분 회사에서 파트타이머와 풀타이머 모두에게 동등한 회사 복지혜택을 준다는 점이다. 직업의 귀천이 없다는 말은 캐나다에 오면 쉽게 깨달을 수 있다. 즉..
나는 2014년 12월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받아 캐나다에 입국했다. 워홀러 대부분이 그렇듯 나 역시도 입국 전부터 어떤 일을 할지 많은 생각을 했었다. 나는 제대 후 리조트에서 약 1년간 근무했었고, 카페에서도 역시 1년간 근무했었다. 사실 커피에 대해서라곤 믹스커피만 알고 20여 년을 살아왔는데, Kaya를 만난 후 주로 카페에서 데이트하며 커피에 대해 조금씩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고, 카페에서 일하면서 나의 커피에 대한 궁금증은 계속 생겨났다. 커피에 대해 알아가면 갈수록 계속 흥미가 생겼고, 훗날 카페를 하겠다는 목표도 이때 생겼다. 그러므로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받아 내가 캐나다에 가면 가장 하고 싶은 일 역시 카페 일이었다. 한국과 다른 커피 문화를 더 체험해보고 싶었고, 무엇보다도 카페에서 일..
먹고자기를 반복하다보니 어느새 밴쿠버 공항에 착륙한다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밴쿠버까지는 에어 캐나다를 타고 갔는데, 2명의 캐네디언 승무원과 1명의 교포 2세 승무원이 서비스를 해 주었다. 캐나다 국적 비행기이다보니 기본적인 서비스는 영어로 제공되었고, 중요한 안내메세지는 영어와 불어, 한국어로 방송되었다. 밴쿠버에 내려 가장 먼저 한 일은 입국 심사받기 였다. 캐나다에 오기전 워킹 홀리데이 비자로 입국했지만, 이민관의 실수? 혹은 재량으로 1년 미만의 비자를 받은 케이스를 들었기 때문에 정신 바짝차리고 심사에 응했었다. 더욱이 영어를 잘하지 않기 때문에 한마디라도 놓치지 않기위해 많이 긴장했었던 걸로 기억한다. 심사관 : 안녕하세요?나 : 안녕하세요? 심사관 : 서류를 볼 수 있을까요?나 : 네, 여..
모순적으로 들릴수도 있지만, 나는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것은 좋아하지 않지만, 새로운 곳을 여행 하는 것은 좋아한다. 또한 새로운것에 도전하여 그것을 달성하면서 얻는 성취감을 좋아한다. 그래서 항상 한국을 떠나 해외에서 사는 삶을 고려하며 살아왔다. 내가 말년병장 휴가를 나왔을때, 지금의 와이프가 된, Kaya를 만났다. 해외경험이 많았던 그녀로부터 나는 다양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한국에서 몇 년간 교제하며, 함께 캐나다로 이민을 가자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그녀는 이미 캐나다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컬리지에 입학하는 걸로 비자를 얻기로 하고, 나는 워킹 홀리데이를 신청하기로 했다. 캐나다 워킹 홀리데이 자격만 18~30 세의 대한민국의 시민캐나다 워킹 홀리데이 기간동안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