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쥬메를 열심히 돌렸다면 인터뷰 보고 싶다는 내용의 전화가 걸려 오기 시작한다. 대부분의 인터뷰 전화의 내용은 이렇다. 고용자 : Hello? Is this 큰일한남자? 나 : Hello! Yes, this is him 고용자 : Great, Nice to meet you. It's ★★(이름) calling from ★★(회사이름). I saw your reseme. 낸지 좀 지난 곳이 라면 고용자 : Are you still looking for a job? 나 : Yes, I am. 고용자 : Can you take an interview on Tuesday at 3? 나 : Yes, I can. or I think I can't. Could I be there on Friday? 고용자 : Do ..
레쥬메가 알차게 준비되었다면 다음 단계는 사정없이 마구마구 뿌리는 것이다. 레쥬메는 전혀 아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레쥬메를 넣는다고 해서 모든 곳에서 전화가 올거라는 생각은 오산이다. 물론 인터뷰 전화가 쉴새 없이 울릴 수도 있지만, 아마 대부분은 내가 레쥬메에 전화번호를 잘못 기재했나? 싶을 정도로 잠잠할 것이다. 캐나다에서는 당장 고용 계획이 없더라도 만약을 대비해 레쥬메를 받아두는 문화가 있으니 너무 상심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니 정말 글자 그대로 레쥬메를 마구마구 뿌려 훗날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 좋다. 지원하는 방법은 온라인 지원과 오프라인 지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빠른 구직을 위해 매니저가 주로 매장에 있는 오전~초저녁 시간까지는 발품을 팔아 오프라인으로 지원하고, 그 후 저녁 시간과..
고용과 채용의 원리는 캐나다와 한국 둘 다 같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떤 분야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도와줄 사람이 필요해 공고를 내고, 그 분야에 적합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지원하면, 서로 간의 합의 후에 계약을 맺는 원리. 하지만 문화가 다른 두 나라에는 몇 가지 다른 점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직업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정규직으로 구분하여 혜택을 다르게 주는 반면 캐나다에서는 직업을 파트타임잡과 풀타임잡으로 구분하고, 여기에서 Permanent Job(영구직)과 Temporary Job(임시직)으로 다시 구분한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대부분 회사에서 파트타이머와 풀타이머 모두에게 동등한 회사 복지혜택을 준다는 점이다. 직업의 귀천이 없다는 말은 캐나다에 오면 쉽게 깨달을 수 있다. 즉..